놀이이야기

0-2세 신체운동 접시 위의 얼음을 옮기며 놀이해요

최고다강선생님 2024. 7. 23. 20:12

 

"접시 위의 얼음을 옮기며 놀이해요" 놀이는 영아들이 손과 손가락을 사용하여 얼음을 옮기며 소근육을 발달시키고, 얼음의 차가운 감각을 통해 감각 탐색을 할 수 있는 활동입니다. 또한, 이 놀이를 통해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고, 교사 및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성을 증진시킬 수 있습니다. 놀이 중의 언어적 및 비언어적 표현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도 강화할 수 있습니다.

접시 위의 얼음을 옮기며 놀이해요

 

놀이 목표

  1. 소근육 발달 촉진: 영아가 접시 위의 얼음을 집고 옮기는 과정을 통해 손과 손가락의 소근육을 강화하고 조절 능력을 향상시킨다.
  2. 감각 탐색 및 인지 발달: 차가운 얼음의 감각을 느끼며 감각 탐색을 통해 인지 발달을 촉진한다.
  3. 문제 해결 능력 향상: 얼음을 옮기는 과정에서 문제 해결 능력을 발달시킨다.
  4.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: 놀이 과정에서 교사 및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적 관계 형성을 도모한다.
  5. 언어적 및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 강화: 놀이 중의 언어적 표현과 비언어적 제스처를 통해 의사소통 능력을 증진시킨다.

표준보육과정발달 기대

  1. 신체발달: 영아가 얼음을 집고 옮기는 과정을 통해 소근육이 발달하고, 손과 손가락의 조절 능력이 향상됩니다.
  2. 사회정서발달: 놀이 중 교사 및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적 관계 형성 및 정서적 유대감을 느낍니다.
  3. 인지발달: 얼음의 감각을 탐색하며 인지적 사고 능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발달시킵니다.
  4. 의사소통능력: 놀이 중 발화 및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이 강화됩니다.

놀이 계획안 및 방법

  1. 준비물: 작은 얼음 조각, 접시, 집게 또는 작은 숟가락
  2. 놀이 환경: 안전하고 물이 흘러도 문제가 없는 실내 공간, 방수 매트 사용
  3. 놀이 방법
    • 준비: 영아와 교사는 물이 흘러도 안전한 방수 매트 위에 앉습니다.
    • 놀이 시작: 교사는 얼음을 접시에 놓고, 얼음을 집게나 작은 숟가락으로 옮기는 방법을 시범 보입니다.
    • 얼음 옮기기: 영아가 집게나 숟가락을 사용하여 얼음을 다른 접시로 옮기도록 유도합니다.
    • 반복: 이 과정을 반복하며 영아가 점차 얼음의 차가운 감각과 집게 사용에 익숙해지도록 합니다.
    • 변형: 얼음의 크기와 집게의 크기를 조절하여 놀이의 난이도를 조절합니다.

교사의 놀이 지원

  1. 안전 관리: 영아가 얼음 놀이를 할 때 안전하게 놀이할 수 있도록 주변 환경을 정리하고, 얼음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주의합니다.
  2. 적극적인 피드백 제공: 영아가 얼음을 잘 옮길 때마다 칭찬과 격려를 아끼지 않습니다.
  3. 놀이 환경 조성: 영아가 얼음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충분한 얼음과 다양한 크기의 집게를 준비합니다.
  4. 상호작용 강화: 영아와 지속적으로 눈을 맞추고, 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해 영아가 놀이에 더욱 몰입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.

놀이 후 평가 기록

  • 영아의 언어적 놀이 모습:
    • 영아가 얼음 놀이를 하며 발화한 단어 또는 소리 기록 (예: "얼음!", "차가워!")
    • 놀이 중 영아가 발성한 소리와 그 빈도를 기록하여 언어적 발달 정도를 평가합니다.
  • 영아의 비언어적 놀이 모습:
    • 영아가 얼음을 집거나 옮기는 행동, 표정, 몸짓 등의 비언어적 표현을 관찰하고 기록합니다.
    • 예를 들어, 영아가 얼음을 집을 때의 집중하는 모습, 얼음을 옮길 때의 표정 변화를 기록합니다.

놀이 평가 및 해석

  • 참여도 평가: 영아가 얼음을 집고 옮기는 과정에서 얼마나 적극적으로 참여했는지 평가합니다. 얼음을 옮기는 동작이 매끄럽게 이루어졌는지, 영아가 얼음을 옮기는 시도에서의 성공 빈도를 기록합니다.
  • 사회적 상호작용 평가: 교사 및 또래와의 상호작용에서 영아가 눈을 맞추는 빈도, 미소 짓는 모습, 교사와의 신체적 접촉을 얼마나 즐기는지 평가합니다.
  • 의사소통 능력 평가: 놀이 중 영아가 사용하는 언어적 표현과 비언어적 제스처를 평가하여 의사소통 능력의 발달 정도를 해석합니다.

지도 방안

  • 흥미 유지: 영아가 놀이에 흥미를 잃지 않도록 다양한 크기와 색상의 얼음을 사용해 봅니다.
  • 단계별 지도: 놀이 중 어려움을 겪는 부분이 있다면, 단계별로 쉬운 동작부터 차근차근 도와줍니다. 예를 들어, 얼음을 집는 것이 어려운 영아에게는 손으로 얼음을 만져보고 옮겨보도록 유도합니다.
  • 상호작용 증진: 놀이 중 영아의 반응을 유심히 관찰하고, 영아의 시도와 성취에 대해 긍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합니다.

다른 놀이로의 연계 및 확장

  1. 물감 얼음 놀이: 다양한 색깔의 물감을 사용하여 얼음을 만들고, 색깔을 인지하고 혼합하는 놀이로 확장합니다.
  2. 얼음과 물 탐색 놀이: 얼음을 물에 넣어 녹는 과정을 관찰하며 과학적 탐구 능력을 발달시킵니다.
  3. 얼음과 소리 놀이: 얼음을 다양한 재질의 접시에 놓고 얼음이 녹는 소리를 듣는 놀이를 통해 청각 탐색을 합니다.
  4. 얼음을 이용한 미술 활동: 얼음을 물감에 찍어 종이에 그림을 그리며 창의성을 발달시킵니다.

"접시 위의 얼음을 옮기며 놀이해요" 놀이는 영아들이 손과 손가락을 사용하여 얼음을 옮기며 소근육을 발달시키고, 얼음의 차가운 감각을 통해 감각 탐색을 할 수 있는 유익한 활동입니다. 소근육 발달, 감각 탐색, 문제 해결 능력 향상,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, 언어적 및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 강화를 목표로 하는 이 놀이는 교사의 적극적인 지원과 평가를 통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. 이를 통해 영아의 전인적 발달을 도모하고, 다양한 얼음 놀이 활동으로 자연스럽게 확장할 수 있습니다.